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란?
현실 세계의 개체를 기계의 부품처럼 하나의 객체로 만들고 이들을 조립하여 제품을 만들듯이
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도 객체들을 조립해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래밍 기법.
객체지향 언어의 장점
- 상속을 통한 재사용과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다.
- 코드의 재활용성이 높다.
- 분석과 설계를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.
- 대형 프로그램의 작성과 개발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.
객체지향 언어의 단점
- 프로그래밍 구현을 지원해주는 정형화된 분석 및 설계 방법이 없다.
구성 요소
- 객체 :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메서드(연산)를 결합시킨 실체이다.
- 클래스 : 두 개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는 요소이다.
- 메시지 : 객체들간의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수단으로, 객체의 메서드(연산)를 일으키는 외부의 요구사항이다.
객체지향 언어의 특징
- 캡슐화 :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.
- 정보은닉 : 다른 객체에게 자신의 정보를 숨기고, 자신의 연산만을 통해 접근을 허용하는 것.
- 추상화 : 객체의 속성 중 가장 중요한 것에만 중점을 두어 개략화 하는 것. 즉 데이터의 공통된 성질을 묶는 것.
- 상속성 : 상위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연산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.
- 다형성 : 하나의 메시지에 대해 각 객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응답할 수 있는 능력.
'정보처리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크립트 언어 (0) | 2020.10.24 |
---|---|
포인터 (0) | 2020.10.24 |
소프트웨어 개발 보안. 시큐어 코딩? (0) | 2020.10.24 |
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(0) | 2020.10.24 |
웹 서비스(Web Service) (0) | 2020.10.24 |